안녕하세요 규정 제 50조 13항 관련 질문이 있습니다.
제45조 ⑧항에 해당하는 모든 고전류 경로에 있는 볼트, 너트 및 기타 고정 장치를 포함한 모든 전기적 연결부는 고온에 적합한 풀림 방지 체결방식을 사용해야 한다. 풀림 방지 체결방식은 차량 기술 규정 제74조를 따른다.
여기서 제 45조 8항은 새로 생긴 규정 입니다.
⑧ 고전류 경로(High current path)
정격으로 1A 이상의 전류가 흐르는 모든 전기적 경로는 고전류 경로이다.
고전류 경로에 있는 모든 전기적 연결부는 고온에 적합한 풀림 방지 체결방식을 사용해야 한다고 기재되어 있습니다.
"고온에 적합한 풀림 방지 체결방식"에 Wire-To-Wire 커넥터 형식도 인정이 되는건지 궁금합니다.
본문에 인용해 주신 것처럼 풀림 방지 체결방식은 차량 기술 규정 제74조를 따른다. 라고 명시되어 있으니, 질문 주신 내용은 제74조 (볼트, 너트 등 체결장치 - Fasteners) 를 보시면 답변이 될 것 같습니다.
커넥터를 사용한다면 당연히 해당 커넥터의 전류 정격에 대한 증빙을 준비하셔야 하고요.
답변 감사합니다!
규정집 대로 전기적 연결부는 제 74조에 따른 풀림방지, 그리고 고온에 적합한 체결방식을 준수해야 하는것으로 인지했습니다.
커넥터를 사용하기 위해 전류 정격과 고온에 적합하다는 증빙자료는 제출 할 수 있지만, 제 74조 풀림방지에 나열된 항목들과 동등한 체결강도를 가짐을 증빙하기에 어려움이 있어 포럼 회원님들은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하여 질문했습니다.
인클로저 내에서 wire to wire 커넥터를 사용하는 것 자체는 크게 문제가 없을 텐데요, 문제의 배선이 HV인가요 LV인가요? 어느 인클로저에 들어 있는 무슨 배선인가요?
저희 팀의 경우 인클로저 외부와 내부 모두 존재합니다.
LV로 냉각시스템을 작동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커넥터들이 1A 이상의 고전류 경로인 경우가 있습니다.
또한 동일한 전류가 흐르는 냉각시스템의 퓨즈가 인클로저 내부에 있습니다.
그러한 배선은 특별한 이유가 있는게 아니라면 볼트를 이용한 체결보다는 커넥터로 연결하는게 더 적절할 것 같습니다. 몰렉스 5557 시리즈처럼 커넥터에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간단한 후크같은 것만 있다면 문제가 되지 않을 것 같아요.
tjems65
(JW)
7
답변 내용이 많이 도움된 것 같습니다.
항상 자작 자동차 대회에 힘써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