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동시스템의 전기적 연결부 및 체결에 관해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제50조 11항 3번 구동시스템의 전기적 연결부에는 플라스틱과 같은 비금속 재료의 사용을 금지한다. (진동 등에 의한 단자 간 접촉 불량 방지) 규정에 관해 아래 방식이 해당 규정을 만족하는지 질문드립니다.

아래의 설계를 보면, 3T 구리버스바에 구멍을 뚫고, 니켈을 레이저 용접한 후 세그먼트의 니켈과 스폿용접을 통해, 버스바와 세그먼트가 완전히 붙도록 할 계획입니다.



이때 버스바 중앙에 있는 4개의 구멍 중, 2개는 아래 그림처럼 버스바와 니켈만을 통과하는 용도로 사용되고, 나머지 2개는 구리버스바를 통과하지 않고 니켈만을 통과해서 세그먼트 하우징과 체결됩니다. 이때 니켈과 하우징 사이에는 금속 부싱이나 플랜지를 넣어서 공극을 만들 것이고, 부싱과 니켈이 닿는 부분에는 필요 시 캡톤이나 노맥스를 통해 절연처리할 예정입니다.

해당 설계의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구동시스템의 전기적 연결부가 실질적으로 세그먼트 커넥터와 단독연결되어있는 구리버스바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전기적 연결부에 비금속이 포함되지 않는다고 판단했기 때문입니다.
  2. 진동 혹은 열에 의해 하우징이 변형되어도, 이미 버스바와 니켈 사이에는 스폿용접이 되어 있기 때문에, 전기적 연결부에 접촉면적이 변화하지 않는다고 판단했습니다.
  3. 결국 세그먼트와 기계적 체결된 하우징이 배터리박스와 기계적 체결이 되기 때문에, 제63조 4번 규정 또한 충족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위 설계가 규정을 충족하는지 질문드립니다!

아래는 관련된 qna 입니다. 두 질문에 나온 방식 모두 적합하다는 오피셜님의 답변이 있었습니다.
https://www.ksae.org/jajak/bbs/?number=64976&mode=view&code=J_qna&keyfield=all&keyword=전기적&category=B&gubun=

https://www.ksae.org/jajak/bbs/?number=65737&mode=view&code=J_qna&keyfield=all&keyword=세그먼트&category=B&gubun=

최근 포럼에서도 같은 규정으로 질문이 올라왔었고, 작년 qna에서도 비슷한 질문이 보이지만, 제 설계에 확신이 없어서 이렇게 글을 작성합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항상 친절한 답변 감사합니다!

우선 말씀하신 세그먼트 하우징이 어떤건지 잘 모르겠습니다. 셀 홀더를 의미하는건지, 모델링사진에 보이는 셀을 바깥에서 덮는 하우징을 말하는건지 모르겠네요.
그리고 사진상으론 배터리셀에 직병렬로 스팟용접된 니켈과 부스바에 용접된 니켈이 딱 맞붙는거 같은데 그러면 어떻게 이 두개가 스팟용접이 된다는건지도 이해가 안되고요.
또 구멍 4개중에 어떤 2개가 어떤용도인지 표시도 해줬으면 좋겠어요.

죄송합니다. 다시 제 글을 보니 설명이 많이 부족했습니다 ㅠㅠ
먼저 세그먼트 하우징은 셀을 바깥에서 덮는 하우징입니다. 작년부터 사용한 상용 셀홀더를 올해도 그대로 사용하기 때문에, 따로 하우징을 제작하여 체결할 계획입니다.
사진상에서 세그먼트에 용접된 니켈은 14P이며, 부스바에 구멍이 뚫린 부분은 니켈이 드러나있기 때문에, 부스바에 용접된 니켈과 세그먼트에 용접된 니켈을 스폿용접을 할 수 있습니다


글에 있는 사진에서, 부스바 중앙에 빨간색과 파란색으로 칠한 부분이 체결 지점입니다. 파란색으로 칠한 지점은 세그먼트 하우징과 체결되지 않고, 부스바와 니켈만을 통과합니다. 용도는 bms전압선을 고정시키기 위한 지점입니다.
빨간색으로 칠한 지점은 셀홀더에 박힌 인서트너트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의 구멍입니다. 이 부분이 세그먼트 하우징과 볼팅이 되며, 이때 볼트는 부스바와 접촉하지 않습니다.

규정상으론 문제가 있어보이지는 않는것 같습니다.

다만 우려스러운 부분은 레이저용접 부분에 용접똥이 생길텐데 이것때문에 면 전체가 깔끔하게 맞닿지 못할것 같습니다. 또한 스팟용접이 되는 부분을 제외하고는 기계적 결합이 되어있지 않은 상황이고, 차량 진동에 의해 두 도체가 붙었다 떨어졌다하며 임피던스가 변해 전류 불균형이 생길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구리부스바에 용접된 니켈에서 스팟용접이 되는 부분을 제외하고는 모두 절연처리를 해주는것이 좋을것 같습니다. 해당부분은 작년 대회 검차에서도 굉장히 강조되었던 부분입니다.

여기서부터는 제 개인적인 생각인데,

해당 모델링 사진을 보면 중간에 뚫려있는 4개의 구멍쪽에는 니켈이 없는것으로 모델링 되어있는데, 그 밑의 사진과 댓글의 설명을 보면 니켈이 있는것 같습니다.

아래 그림의 경우 구리부스바와 니켈이 맞닿아 있기에 고전류경로가 됩니다. 적절한 풀림방지를 적용한다면 문제될건 없지만 의도한 경로가 아니라면 굳?이 싶긴합니다. 전압센싱을 위한 연결이라면 납땜으로 충분히 간단하게 가능한데 돈 들여가면서 신경쓸 부분이 늘어나는것 같아서요.
다만 이 체결이 셀홀더와 구리부스바와의 기계적 고정으로썬 충분한 의미를 가지고, 셀홀더와 구리부스바 사이의 기계적 고정이 꼭 필요할것 같아서 볼팅결합 사이에 니켈이 안들어가는 방법이 있다면 그걸로 추천드립니다.

설계하신 방식이 한번 스팟용접하면 수정이 굉장히 힘들어보입니다. 작업 이전에 충분히 고민해보시고 진행하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자세히 답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조언해주신대로 충분히 더 생각해보고 작업 진행하겠습니다 ㅠㅠ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