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초기충전 릴레이 관련 질문이 있어 이렇게 글을 씁니다.
규정 제 54조 4항에 AIR와 초기 충전 릴레이의 개방 및 단락은 실제 기구적인 상태를 감지해야 하며 릴레이 제어신호를 사용할 수 없다. 실제 기구적인 상태를 감시하기 위해 회로를 이용하는 경우 제66조 ②항을 만족해야한다.
라고 되어 있는데 초기충전릴레이를 통과하는 HV 라인을 초기충전 릴레이와 다른 릴레이를 병렬로 배치하여 이를 고전압 레귤레이터로 전압을 낮춰 초기충전 의 개방여부를 감지한다고 해도 되는지 궁금합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초기충전 릴레이와 별개로 또다른 릴레이가 병렬 연결되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두 회로 서로에게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분리하여 제작했었습니다!
그럼 둘 중 한 릴레이가 고장이 나서 다른 하나만 정상 작동하는 상황을 생각해볼 때, 초기충전 릴레이의 기구적인 상태를 감지한다고 말할 수 있을까요?
그 상황에서는 기구적인 상태가 감지안되는 것이 맞다고 생각합니다.
제가 지식이 부족할 수도 있을 수 있는데 초기충전릴레이의 개폐 여부를 보조접점이 있는 릴레이를 사용하는 팀이 있다고 들었습니다. 기본적으로 보조접점이 달려있는 릴레이를 사용한다고 했을 때 보조접점의 경우도 일종의 릴레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저는 공간과 비용 때문에 보조접점의 역할으로서 릴레이를 병렬로 하나 더 배치한 것이었습니다. 물론 상대적으로 위와 같이 구성하는 것이 신뢰성 측면에서 더 떨어질 수는 있겠지만 원리적으로는 유사한 구성이라 생각해서 이렇게 구성한 것이었습니다.
말씀하신 방법이 가능합니다. 올해부터 전압 측정을 바탕으로 실제 릴레이의 개폐 여부를 판단이 가능하기 때문인데요. 다만 주의하실 점은 릴레이가 개방되었을때 축전지박스 외부쪽에 고전압이 존재하지 않는 것도 함께 체크해야합니다. 지금 회로에는 그게 구현되어있는지 모르겠네요.
답변 감사합니다! 회로는 전부 축전지 박스 내부에 배치할 예정입니다
그냥 초기충전 릴레이의 뒤에 전압 감지 회로를 붙인거라면 초기충전 회로의 개폐 여부를 감지한다고 할 수 있는데요, 이건 초기충전 릴레이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로 작동하는 릴레이가 하나 더 있는 거라서 릴레이 제어신호를 사용할 수 없다는 규정을 만족한다고 말할 수 없을 것 같아요.
말씀하신 보조접점이 있는 AIR의 경우 내부 구조가 어떻게 되어있는지 모르기 때문에 쉽게 판단할 수 없지만, 접점이 두 개더라도 왔다갔다하는 구동부 자체는 하나이고 이 구동부가 주 접점과 보조접점을 모두 작동시킨다면 사용할 수 있다고 생각해 볼 수 있을 것 같아요.
구동부가 2개가 된다는 점은 미처 고려하지 못했습니다..! 답변 감사드리고 다시 한번 생각해보겠습니다
네 이게 깔끔한 답인거 같네요. 릴레이 뒤에서 전압 감지를 해야할거같네요. 제가 잘못생각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