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규 에너지미터 관련 자주 하는 질문

2025년부터 e-포뮬러에서 사용하는 에너지미터가 신규 모델로 변경되고, EV에도 동일한 에너지미터가 도입됩니다. 관련 자료가 대회 홈페이지에 공지되어 있습니다.

다만 EV의 경우 처음 도입되는 관계로 다소 혼란이 있는 것 같아, 몇 가지 자주 혼동하는 내용에 대한 질의응답을 공유합니다.

1. PDF에 나와 있는 커넥터 2개만 연결하면 되는 건가요?

아닙니다. 차량기술규정에 나와있듯 3D 모델링 상단에 있는 2개의 볼트 단자까지 총 3종류의 단자를 모두 연결해야 합니다.

상단의 볼트는 구동시스템 전류 측정을 위한 단자입니다. 양 단자가 멀티미터 전류계의 각 프로브라고 생각하면 쉽습니다. 두 단자는 내부에서 버스바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홀 센서를 통과합니다.

모든 구동시스템 전류는 반드시 두 단자를 통해서 흘러야 합니다. 따라서, 에너지미터는 메인 구동시스템 배선을 끊고 그 중간에 들어가야 합니다.

대회장에서 에너지미터는 차량이 모든 검차를 통과한 후에 지급되므로, 그 전까지 연습 주행이나 검차를 위해 에너지미터가 끊는 배선을 연결하는 버스바 등을 미리 준비하시기 바랍니다.

2. 측면의 2핀 커넥터는 구동시스템 단자인데, 고전류 배선을 사용해야 하나요?

해당 커넥터는 구동시스템 전압을 재는 단자입니다. 마찬가지로 양 핀이 멀티미터 전압계의 각 프로브라고 생각하면 쉽습니다.

두 핀 사이의 임피던스는 약 3MΩ입니다. e-포뮬러 구동시스템 최대 전압인 600V를 인가해도 전류는 200uA에 불과합니다. 배선은 사용하시는 구동시스템 전압만 견딜 수 있도록 적절히 선택하시면 됩니다만, 해당 커넥터의 크림프 터미널인 MOLEX 5556T는 18~24AWG 를 사용하므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3. 핀맵을 보면 4핀 커넥터에 2개의 케이블이 연결되던데, 동시에 연결하는 건가요?

아닙니다. 두 케이블은 서로 다른 별개의 케이블입니다.

주행 중 에너지미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케이블과, 에너지미터 데이터 열람 시 사용하기 위한 USB 데이터 케이블을 각각 따로 제작하여 준비해야 합니다.

두 케이블을 한 커넥터로 모아 에너지미터에 연결할 경우, 차량의 LV가 커넥터를 타고 USB 단자에 직접 공급됩니다. 이 상태로 USB를 연결하면 바로 소중한 노트북과 핸드폰이 고장날 수 있으니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배선도의 전선 AWG는 예시이며, 이 커넥터들에 흐르는 전류도 무시할 수 있는 수준이므로 배선은 마찬가지로 5556T 터미널에 호환되는 AWG에만 맞게 적절히 선택하시면 됩니다.

4. 4핀 커넥터 앞의 구조물은 무엇인가요?

앞서 설명한 것처럼 4핀 커넥터에는 2개의 케이블이 사용됩니다. 주행 기록을 확인하려면 주행용 케이블을 뽑은 다음 데이터 케이블을 꽂아야 합니다. 한편, 많은 팀들이 한 번 장착하면 탈거하는데 많은 노력이 필요한 곳에 에너지미터를 배치합니다.

해당 구조물은 에너지미터가 차량에 장착된 상태에서도 데이터 추출이 가능하도록, 케이블 교체를 위한 최소 공간을 확보하는 가이드입니다. 5557 커넥터보다 조금 더 길게 설계되었습니다.

따라서 케이블을 탈착할 수 있도록 해당 커넥터 주변에 충분한 공간을 확보해야 합니다. 또한, 에너지미터의 Z축 방향으로도 무언가를 배치하여 커넥터에 접근할 수 없게 만들지 않도록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5. 방수 되나요?

안됩니다. 에너지미터는 반드시 방수 처리된 인클로저 내부에 장착해야 합니다. 인클로저 없이 차량 외부에 배치하지 마세요.

그 외 팁

  • 대회장에서 참가팀에게 제공되는 에너지미터는 PCB가 아니라 하우징까지 포함된 완성품입니다.
  • 팀이 임의로 제작한 에너지미터는 대회장에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에너지미터 하우징은 대회 기간 중 봉인되며 임의 개봉 시 실격 처리됩니다.

데이터 열람

에너지미터에 기록된 주행 데이터는 대회 중 언제든지 팀에서 직접 열람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 케이블로 에너지미터와 컴퓨터 혹은 스마트폰을 연결하면 USB 메모리가 나타납니다. USB에 저장된 파일을 데이터 뷰어에서 열면 됩니다. 테스트 파일을 첨부해 두었으니 직접 한 번 열어보세요.

2025-04-05-14-58-49-582 00250044-3434510C-33353630.log (183.0 KB)
2025-05-28-22-28-27-898 00440047-34345118-30323836.log (95.5 KB)

주행 기록 예시는 다음과 같습니다.

  • USB 메모리는 읽기 전용이므로, 파일 탐색기에서 저장된 기록을 삭제할 수는 없습니다.
  • 데이터 뷰어를 통한 기록 일괄 삭제는 가능합니다만, 대회 중에 기록이 삭제될 경우 실격 처리됩니다.

e-포뮬러 변경사항

e-포뮬러 기준으로 작년 에너지미터와의 주요 변경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4핀 LV 커넥터의 모델과 2핀 HV 커넥터의 핀맵이 변경되었습니다.
  • 불가피하게 하우징 크기가 조금 커졌습니다.
2개의 좋아요

혹시 22awg선 색상도 지켜야될까요..? 색상은 자유인가용..?

규정만 지키면 됩니다. 포뮬러라면 HV 케이블은 주황색을 사용하셔야겠죠.

1개의 좋아요

아 포뮬러팀은 HV가 주황색으로 규정에 있나보네요.. 저는 EV라 잘 몰랐는데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팀이 임의로 제작한 에너지미터는 대회장에서 사용할 수 없습니다.”라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저희 팀은 대회에서 제공하는 공식 에너지미터를 차량에 정상적으로 연결한 상태에서, 별도로 자작한 에너지미터를 통해 차량 계기판(디스플레이)에 데이터를 표시하려고 합니다.
이 경우, 공식 에너지미터는 차량 에너지 측정용으로만 사용되고, 자작 에너지미터는 단순히 운전자 정보 제공용으로 사용됩니다.
이러한 방식이 위반되나요?

저는, “팀이 임의로 제작한 에너지미터는 사용할 수 없다”는 문구를 "공식 에너지미터를 대체하는 용도로는 사용할 수 없다"라고 해석했습니다.

혹시 제가 잘못 이해하고 있는 지 질문 드립니다.

팀이 임의로 제작한 에너지미터를 사용함으로써 대회에서 제공하는 에너지미터를 대체할 수 없다는 뜻입니다.팀이 임의로 제작한, 전압과 전류 등을 바탕으로 사용 에너지를 측정하는 장치는 에너지미터로서 인정받지 못하고, 데이터 로깅 목적의 장치에 해당합니다. 대회에서 제공하는 에너지미터와는 별도로 추가적인 장치를 이용하여 사용 에너지를 측정하는 것은 문제되지 않습니다.
또한, 팀에서 만든 장치를 바탕으로 차량기술규정에서 명시되어있는 최대출력 사용에 대한 규정을 증빙할 수 없습니다. 해당 규정을 충족하는지 여부는 대회에서 제공하는 에너지미터로만 이루어집니다.
예시로, 팀에서 제작한 장치를 통해서는 최대출력을 초과하지 않았더라도 대회에서 제공하는 에너지미터에서 최대출력을 초과했다면 이는 규정 위반에 해당합니다.

안녕하세요.

GitHub에 올려주신 에너지미터 관련 파일을 참고하여, 저희도 해당 회로를 기반으로 주문 제작을 진행해보려 하고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에너지미터에 사용되는 홀 센서(L01Z600S05)의 구조상,

전류가 통과하는 동버스바(busbar)의 규격이 약 15mm × 8mm 이내로 제한된다는 점을 확인했습니다.

동버스바를 선정할 때, 허용전류에 여유를 두어 200A정도로 선정하려고 합니다.

저희가 확인한 바로는,

이러한 규격 내에서 허용 전류 200A를 견딜 수 있는 동버스바를 찾는 데 어려움이 있습니다.

현재까지는 3T × 15mm, 4T × 15mm 규격을 고려해봤으나, 허용전류가 부족한 것으로 판단됩니다.

이에 대해 몇 가지 문의드리고 싶습니다:

  1. 해당 규격 내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적절한 동버스바 사양이나 대안이 있을까요?

  2. 혹시 저희가 전류 허용 조건이나 구조에 대해 잘못 이해하고 있는 부분이 있다면 조언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GitHub에 올려주신 에너지미터 관련 파일을 참고하여, VCU를 개발해보려고 회로를 공부하고 있습니다.
HV_VOLTAGE_SENSING 회로 부분에서 소자 AMC3311QDWER로 들어가는 HV+ 선에서 저항이 직렬로 총 3M옴 이 연결되어 있는데 데이터 시트를 봤지만 6번 ANALOG INPUT으로 들어오는 전압의 최대 최솟값은 MIN : HGND – 6 (V) MAX : HLDO_OUT + 0.5 (V) 라고 하는데 최대 정격 전압의 크기를 데이터 시트에 대한 내용들론 유추하기가 힘들어서 질문 남겨드립니다. 3M옴을 통해 들어가는 INPUT 전압을 1/300 크기 만큼 낮춘 이유를 알 수 있을까요?

대회에서 사용되는 에너지미터의 버스바는 비규격품입니다.
허용 전류는 허용 상승 온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해당 Iso amp의 operating range가 2V이고, 에너지미터는 600V 대응이기 때문에 1/300 디바이더를 사용한 것으로 보입니다.
VCU를 만드는 목적이라면 사용하는 배터리팩의 전압에 맞추어 조절하는 것이 정밀도 측면에서 좋을 겁니다.

보신건 absolute maximum rating 이고, 그 바로 다음 recommend operating condition 을 보시면

min nom max unit
VFSR Specified linear full-scale voltage IN to HGND –0.1 2 V

라고 적혀있습니다. 위에서 말씀해주신대로 차량기술규정상 600V가 최대이므로 600V를 2V로 만드는 1/300 전압분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