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아래 회로를 PCB로 제작하여 브레드보드로 테스트 중 오류신호가 아닌 정상신호에서도 래칭 릴레이가 리셋되지 않는 현상을 겪었습니다. 처음에는 BMS의 래칭릴레이 두개만 그러다 지금은 IMD도 리셋되지 않습니다.
하나의 래칭 릴레이는 리셋 신호를 보낼때만 리셋되다 리셋 신호가 제거되면 다시 켜집니다. 신호를 모두 정상적으로 보내고 있는데 혹시 왜 그런지 알고 계신분 있으실까요… 아래 회로와 PCB 설계도를 첨부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아래 회로를 PCB로 제작하여 브레드보드로 테스트 중 오류신호가 아닌 정상신호에서도 래칭 릴레이가 리셋되지 않는 현상을 겪었습니다. 처음에는 BMS의 래칭릴레이 두개만 그러다 지금은 IMD도 리셋되지 않습니다.
하나의 래칭 릴레이는 리셋 신호를 보낼때만 리셋되다 리셋 신호가 제거되면 다시 켜집니다. 신호를 모두 정상적으로 보내고 있는데 혹시 왜 그런지 알고 계신분 있으실까요… 아래 회로와 PCB 설계도를 첨부하겠습니다.
적어 주신 내용으로는 매번 생기는 문제인지 간헐적으로 생기는 문제인지 잘 모르겠지만, 저도 간헐적으로 리셋이 안 되는 문제를 겪은 적이 있긴 합니다.
1년 전이라 정확히 기억이 안 나기도 하고 정확한 원인은 찾지 못했었는데요, 그 때 아마 리셋 스위치 배선이 길어서 리셋이 잘 안 되는 것으로 판단했던 것 같네요. 한 가지 확실한 건 리셋이 안 되는 문제가 생겼을 때 그냥 와이어로 차단 회로에서 GND인 지점과 리셋 코일 부분을 합선시키면 리셋이 됐었거든요.
그래서 아마 리셋 버튼은 배선이 길어도 확실히 작동하는 다른 릴레이를 작동시키고, 해당 릴레이가 다시 GND와 래칭 릴레이 리셋 코일을 연결하도록 했던 것 같은데 확실하지는 않아요. 어쨌든 그런 가능성도 한 번 확인해 보시면 좋을 것 같네요.
그게 아니라면 BMS에서 나오는 신호가 완전히 0V가 아니라 애매하게 몇 V가 찍혀서 LOW일 때도 간당간당하게 모스펫이 켜진다던가… 그런 상황을 생각해볼 수 있을 것 같은데요, 가능성이 높을 것 같진 않네요.
말씀해주신 부분을 참고하여 여러 부분을 고려해본 결과 릴레이쪽에 다이오드를 달지 않아 역기전력이 발생해 모스펫을 손상시킨 것 같습니다… 모스펫쪽 릴레이에 다이오드를 단 후에는 모스펫이 정상작동을 하고 릴레이도 잘 작동이 됩니다.
제작년부터 글을 보며 E-Formula를 준비하는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이렇게 소통할 수 있는 공간을 열어주시고 도와주셔서 감사합니다!
오호… 몇 번 쓰고 말거 릴레이 플라이백 다이오드 굳이 없어도 괜찮다는 쪽이었는데 영향을 받는 경우도 있군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ㅎㅎ
전문가가 아니라 정확하지 않을 수 있지만 제가 쓴 mosfet의 Drain-to-Source Breakdown Voltage가 낮아서 그런걸 수도 있겠다고 추측하고 있습니다…!
가능하면 안전한 설계가 되는 것이 좋습니다.
릴레이나 솔레노이드 밸브, DC모터 등 인덕티브 로드를 단방향 스위칭 할 경우 무조건 프리휠링 다이오드 넣어주세요. 될 수 있으면 쇼트키 다이오드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