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제63조 4항) 세그먼트는 축전지박스에 기계적 결합을 통해 고정되어 하중을 전달해야 한다. 볼트와 너트를 사용하는 경우 제74조 ③항을 만족해야 한다.
위 규정을 만족하기 위해, 3D프린트를 이용해서 그림과 같이 배터리 셀홀더에 있는 홈에 끼워맞출 수 있는 덮개를 제작 후, 셀홀더와 끼워맞춤 후 배터리박스 옆면과 볼팅으로 체결할 계획입니다.
위와 같은 체결 방식이 제63조 4항에 해당하는 기계적 결합에 해당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제63조 4항) 세그먼트는 축전지박스에 기계적 결합을 통해 고정되어 하중을 전달해야 한다. 볼트와 너트를 사용하는 경우 제74조 ③항을 만족해야 한다.
위 규정을 만족하기 위해, 3D프린트를 이용해서 그림과 같이 배터리 셀홀더에 있는 홈에 끼워맞출 수 있는 덮개를 제작 후, 셀홀더와 끼워맞춤 후 배터리박스 옆면과 볼팅으로 체결할 계획입니다.
위와 같은 체결 방식이 제63조 4항에 해당하는 기계적 결합에 해당되는지 궁금합니다.
기계적 결합에 해당될지 안될지 정확히는 모르겠지만
제 생각에 기계적 결합으로 인정된다면 65조 10항에 따라 가속도 해석에서 만족함을 보여야 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그런데 보기에 매우 약해 보여서 실제 사용에 있어서도 금방 부러질 수도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답변 감사합니다!
저 덮개 말고도 알루미늄을 이용한 덮개를 따로 제작해서 함께 체결한 후 가속도 해석을 돌려봐야겠네요ㅠㅠ